▲ 발행인 백승안

[매일경남뉴스 백승안 기자] 제7회전국동시지방선거가 끝나고 제7기 지방자치정부와 지방자치의회가 출범한 지 20여일이 지났다. 여전히 지방선거 여진으로 지역민심이 화합하지 못하고 갈등과 분열로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다.

특히 선거에 출마해 당선된 당선자와 정당 그리고 지지자들은 오로지 지역주민만 바라보고 가겠다며 읍소하던 목소리가 귀가에 생생하고 지역민심을 얻기 위해 지역을 누비며 두손 내밀던 모습들이 또렷하고 당선증에 잉크도 채 마르지 않았는데 당선된 자치단체장은 권력자로 군림하고 지방의원들은 당리당략과 자리다툼으로 진흙탕 싸움을 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선거에서 당선된 후보를 지지했던 지지자들은 완장 두른 것처럼 기고만장하고 경거망동 행동을 하며 지역 언론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소위 ‘살생부’, ‘블랙리스트’를 작성해 운용하는 의혹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조직적으로 대응하고 자신들이 지지했던 당선자에게 용비어천가 부르기로 일관하면서 지방권력을 움켜쥔 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들을 비판하면 하이에나처럼 달려들어 물어뜯는다.

정치권과 학계 그리고 언론계에서는 모든 사회적 문제에 대해 권력의 눈치 보기로 일관하면서 제대로 보도하지 못한 언론의 태도를 지적한 바 있고, 언론은 국가와 정부 그리고 권력과 권력자에 대한 비판과 감시를 제대로 하고 문제를 지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언론이 어두운 곳을 파헤치지 못하고 제대로 비판하고 보도하지 않으면 정부와 정치권 등 권력의 잘못을 밝힐 수 없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국가기관 또는 지방정부, 지방의회가 제대로 하고 있는지, 권력자와 그에 준하는 공인들이 제 역할을 잘하고 있는지를 감시하려면 지역 저변에 깔려있는 민심을 토대로 한 목소리가 존중되어야 하고 민심을 대변하고 정의로운 사회의 버팀목인 언론에 대해서는 표현의 자유가 최대한 보장돼야 한다.

기본적으로 언론은 권력에 대해 ‘감시견’ 역할을 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고 언론이 용비어천가를 부른다면 그건 언론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꼴이다. 애초부처 표현의 자유는 정치적 표현의 자유에서 출발하고, 정치적 표현의 자유라 함은 권력자를 비판하고 감시하고 견제할 수 있는 걸 의미한다. 권력자나 힘 있는 자의 입맛에 맞는 옹호하는 발언은 표현의 자유에서 보호하려는 범위에서 애초부터 제외가 된다는 걸 언론이 잘 인식해야 한다.

사회 곳곳의 정당한 의혹제기를 막으려는 정부와 권력자에 대한 비판과 지적을 부정하는 권력자의 태도에도 문제가 있다. 취재 권한이 있는 언론사조차 접근해서 확인하기 어려운 내용이 있다. 그런 내용에 대해 확인이 안 됐기 때문에 보도하지 말라는 것은 비판과 견제, 감시를 통해 균형을 맞춰나가는 민주주의를 말살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팩트가 확인되지 않은 일들에 대한 언론의 의혹 제기는 당연하다. 그것을 국가와 정부, 권력자가 자기에게 불리한 감추고 싶은 아픈 진실이라는 이유로 막으면 안 된다. 언론의 의혹 제기에 대한 진실 규명과 해명의 책임이 그들에게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한 언론의 견제와 감시의 대상이 되는 것이 두렵거나 싫으면 권력을 탐해서도 안 되고 그 위치에 오르지 않아야 한다. 자연인과 공인일 때 갖는 언론에 대한 인식과 언론관은 분명히 달라야 한다.

일부 생계형 언론사와 언론인들이 권력에 빌붙어 아부하며, 권력자의 입맛에 맞게 알아서 용비어천가 부르면서부터 ‘사이비기자’, ‘기레기’(기자+쓰레기)라는 수치스러운 이름까지 등장했다. 기관과 단체에서 제공하는 보도자료에 의지하면서 홍보용 기사로 지면을 채우는 언론은 견제와 감시의 기능을 상실한 것이다. 추락하고 있는 언론계의 위상을 바로세우기 위해서는 언론인들이 한 번쯤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봐야 한다. 

저작권자 © 매일경남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